환경부, 삽교천 제방 유실 현장 점검…기후 변화 대비 강화

썸네일

환경부, 수해 피해 삽교천 제방 유실 점검 및 복구 총력

환경부는 최근 집중 호우로 인해 피해를 입은 삽교천 제방 유실 현장을 긴급 점검하고, 신속한 복구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특히 김성환 신임 환경부 장관은 취임 후 첫 현장 행보로 삽교천을 찾아 복구 상황을 직접 점검하며, 기후 위기 시대에 대비한 철저한 준비를 강조했습니다.

삽교천 제방 유실 현황 및 응급 복구 상황

환경부 소속 금강유역환경청과 예산군은 삽교천 제방 유실이 발생한 두 곳 중 삽다리교 인근 제방은 응급 복구를 완료했으며, 구만교 인근 제방은 현재 응급 복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지난 16일부터 17일까지 짧은 기간 동안 421mm의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지면서, 삽교천 제방 2곳이 유실되는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이로 인해 농경지 740ha, 가옥 82동, 비닐하우스 102동이 침수되는 등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 현장 점검 및 지시 사항

김성환 장관은 22일, 삽교천 제방 유실 피해 현장을 방문하여 복구 상황을 점검하고, 다음과 같은 사항을 지시했습니다.

  • 기상예보 및 홍수예보 정확도 향상: 성능이 강화된 슈퍼컴퓨터를 도입하고 인공지능 기술을 융합하여 더욱 정밀한 예측 시스템을 구축할 것을 지시했습니다.
  • 관측망 확충 및 공유: 기상청, 지자체 등 유관 기관 간 관측망을 확충하고 공동 활용하여 감시 공백을 최소화할 것을 강조했습니다.
  • 노후 제방 보강 계획 수립: 노후된 제방 등 하천 시설에 대한 보강 계획을 즉시 수립하여 취약한 홍수 방지 기반 시설을 보강할 것을 지시했습니다.
  • 지류·지천 구간 집중 정비: 이번 호우 피해가 주로 지류·지천에서 발생한 점을 고려하여, 지류·지천 구간에 대한 집중적인 정비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극한 호우 대비, 홍수 대응체계 강화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기후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것이 국가의 최우선적인 역할"이라며, "매년 반복되는 극한 호우에 대비하여 빈틈없는 홍수 대응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환경부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계획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1. 홍수 예측 시스템 고도화: 슈퍼컴퓨터 도입 및 AI 기술 융합을 통해 홍수 예측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선제적인 대피 및 대비가 가능하도록 지원할 것입니다.
  2. 하천 시설 안전 점검 및 보강: 노후 제방, 옹벽 등 하천 시설에 대한 정밀 안전 점검을 실시하고, 보수·보강을 통해 재해 예방 능력을 강화할 것입니다.
  3. 지류·지천 정비 강화: 지류·지천의 통수 능력을 확대하고, 퇴적물 제거 및 하도 정비를 통해 홍수 위험을 최소화할 것입니다.
  4. 유관 기관 협력 강화: 기상청, 지자체 등 유관 기관과의 협력 체계를 강화하여 실시간 정보 공유 및 공동 대응 시스템을 구축할 것입니다.

삽교천 복구, 향후 과제

삽교천 제방 유실 사고는 기후 변화로 인한 극한 호우에 대한 대비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일깨워주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환경부는 이번 사고를 교훈 삼아, 더욱 철저한 대비책을 마련하고,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구분 내용
응급 복구 완료 삽다리교 인근 제방
응급 복구 진행 중 구만교 인근 제방
피해 현황 농경지 740ha, 가옥 82동, 비닐하우스 102동 침수
주요 지시 사항 기상예보 및 홍수예보 정확도 향상, 관측망 확충 및 공유, 노후 제방 보강 계획 수립, 지류·지천 구간 집중 정비

환경부는 삽교천 복구 작업을 신속하게 마무리하고, 항구적인 재해 예방 대책을 수립하여 다시는 이러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환경부는 삽교천 제방 유실 사고를 계기로 기후 변화에 더욱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입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집중호우 특별재난지역 병역의무 이행 연기 및 동원훈련 면제

이재명 대통령, 집중호우 피해 지역 특별재난지역 우선 선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