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수력발전 그린수소 공급 시작: 수소차 시대 개막
국내 최초 수력발전 그린수소 공급 시작: 수소차 시대의 서막
국내 최초로 수력발전으로 생산된 '그린수소'가 일반 수소차에 공급되면서, 대한민국 수소차 시대의 새로운 장이 열렸습니다.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23일 성남정수장에서 한국자동차환경협회, 한국수소환경협회 등과 함께 그린수소 출하 기념행사를 개최하고, 수력에너지로 생산된 그린수소를 수소충전소에 본격적으로 공급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중요한 발걸음입니다.
그린수소 생산 시설 개요
성남정수장 그린수소 생산시설은 2022년부터 추진된 사업으로, 수소차 보급 확대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구축되었습니다. 이 시설에서는 수소승용차 약 40대를 충전할 수 있는 그린수소를 하루 최대 188kg, 연간 최대 62톤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총 44억 원(국비 31억 원, 한국수자원공사 13억 원)의 자금이 투입되었으며, 친환경 재생에너지인 수력 발전을 통해 생산된 전기를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여 그린수소를 생산합니다. 이는 국내 첫 번째 사례로, 탄소 배출 없는 청정 에너지 생산의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그린수소 공급 계획 및 확장
성남정수장에서는 오는 9월까지 운송 차량을 이용해 성남시 수소충전소에 그린수소를 공급하고, 10월부터는 성남정수장 인근에 설치되는 수소충전소에 배관을 통해 직접 공급할 예정입니다. 또한, 환경부는 수력에너지를 이용한 그린수소 생산시설을 밀양시, 충주시와 협력해 밀양댐과 충주댐에도 구축하고 있습니다. 2028년부터는 하루에 승용차 214대를 충전할 수 있는 그린수소 1069㎏을 추가로 생산할 계획입니다.
환경부의 비전과 기대 효과
류필무 환경부 대기미래전략과장은 “이번 그린수소의 수소충전소 공급은 기후위기 시대 청정에너지인 그린수소를 생산 실증단계를 넘어 본격적인 활용단계로 전환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차량용 그린수소의 안정적 공급망을 지속해서 구축해 수소차 보급 확대는 물론 국내 수소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앞으로 지자체와 긴밀히 협력하여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시설 구축사업을 지속해서 추진, 지역에서 필요한 수소를 지역에서 생산하는 '지역 자립형 수소 생산체계'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차량용 수소의 안정적인 공급과 공급가격의 경제성을 확보하고 충전 편의성도 개선할 예정입니다.
그린수소 생산의 의미와 미래
그린수소 생산은 단순한 에너지원을 넘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중요한 투자입니다. 수력발전을 이용한 그린수소 생산은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고,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수소차 보급 확대를 통해 대기 질 개선과 국민 건강 증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정부와 관련 기관의 지속적인 투자와 노력을 통해 대한민국은 수소경제 시대를 선도하는 국가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추가 정보
구분 | 내용 |
---|---|
생산 시설 | 성남정수장 그린수소 생산시설 |
생산량 | 하루 최대 188kg, 연간 최대 62톤 (수소승용차 약 40대 충전 가능) |
총 투자액 | 44억 원 (국비 31억 원, 한국수자원공사 13억 원) |
추가 시설 계획 | 밀양댐, 충주댐 (2028년부터 하루 승용차 214대 충전 가능한 1069kg 추가 생산) |
문의: * 환경부 대기미래전략과(044-201-6875) * 한국수자원공사 그린수소사업부(042-629-2891)
결론적으로, 국내 최초 수력발전 그린수소 공급은 대한민국이 지속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데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입니다. 앞으로도 정부와 관련 기관의 노력을 통해 수소경제 활성화와 탄소중립 사회 실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